화요일 부동산 업데이트 23/3/14

미국 정부 은행 지원. 실리콘 밸리 은행 부도. 

  • 은행 머저?
  • 융자 받는 조건 상승
  • 부동산으로 더많은 투자자가 몰릴 가능성
  • 현찰/높은 다운페이먼트 구매자의 이득 환경
  • 이자율이 높을때, 집값은 낮아지고 경재이 적음으로, 구매하기 좋은 시점
  • 새집 건축이 줄어듬 (건축 융자가 비싸고, 구매 성향이 낮음)
  • $250k 이상의 현찰은 은행계좌에서 빼는것이 안전
  • 매매 가격을 잘모르는 집주인을 공략한 사기성 투자자들이 많음으로, 믿을수 있는 부동산 전문가와 먼저 상의를 하세요. 정식으로 리스팅 올리고 파시는 경우, 돈을 더많이 받을수 있는 확율이 높아집니다. 
Advertisement

미국 부동산 마켓 2023 2월

키 포인트

  • 모기지 이자율과 신청자 수준
  • 가격 조정 방향
  • 구매자 조언
  • 구매 유의 사항

모기지 이자율과 신청자 수준

이자율은 5.8%과 6.5% 사이에서 머무르고 있고, 2023년 봄에 미국 FED가 어떻게 이자율 조정할지에 좌우됩니다. 더 올린다면 경제와 부동산 경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칠것이고, 만약 완화 시킨다면, 구매자 숫자가 좀더 올라가면서, 구매와 가격도 늘어 날것입니다. 3% 이자율은 지나간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늘어나면서, 5-6%도 오래 유지될 가능성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높은 이자율에 적응된 바이어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가격 조정 방향

2022 초 최고치의 가격 수준에선 많이 떨어젔지만, 2020년도 수준에 비하면 아직 가격대가 높습니다. 부동산은 자동차 처럼 필수품임으로, 지난 3-5년간 공급 부족 영향이 현제도 유지되고 있으며, 2022년 침체는 더 많은 구매자들이 기다려야 하는 상태로 진행됬습니다.

매달 나가는 집값이 높더라도, 세들어 사는것 보단 낮다는 생각에, 2-4년 후 이자율 조정을 기대하면서 재융자를 생각하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 5% 가격 조정이 2023년도에 되지 않을까 추측 합니다.

구매자에게 현제 유리한점

  1. 가격 흥정의 여유가 생긴다.
  2. 집이 너무 빨리 팔리지 않음으로, 타주 이사하는데 쉬워졌다. 방문해 집을 보고 살수있는 시간적인 여유.
  3. 집주인의 크래딧 도움을 받을수 있다. 높은이자율을 낮추는 부분이나, 클로징 비용에 도움을 주려 한다.
  4. 집 검사와 가격 감정을 전제로 집을 살수 있다.
  5. 선택 할 집들이 많아졌다.

두가지 유의하셔야 할부분

  1. 가격 책정을 독립적으로 해서 적당한 가격에 구매
  2. 조정 이자율은 만기와 융자 조건등을 정확히 이해한 후에 사용. 가급적이면 fixed rate 기간에 정해진 융자을 이용.

2023년도가 10년 후에 봤을때, “구매하기 좋았었어라고” 할 수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좋은 부동산은 언제든 있음으로, 좋은 부동산 리얼터를 고용하시고, 계속 마켓을 지켜보는것이 중요합니다.

모기지 신청자 수준 비교: https://www.mortgagenewsdaily.com/data/mortgage-applications

가격 조정 방향 예: https://altos.re/r/226658b1-f092-41f3-be90-02d79571c7e8?data=per_sqft_median&zoomMax=139.16

이자율: https://www.onpointcu.com/rates-rewards/personal/#homeloans

미국 주택 마켓 예측 10분 요약 (데이브 램지 summary of Dave Ramsey’s housing market prediction)

1 시간 유투브을 10분에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시간 데이브 램지 비디오: https://youtu.be/fORUvZNm3oo

데이브 램지 말로는 2022년부터 집값이 수요 공급비율 때문에 5년동안 3-5% 매년 올라갈것이라고 예측합니다. 요점입니다.

  • 2020년 29% 주택 가격 상승, 2021년 18% 상승, 2022 8% 상승, 2023-2027년 매년 3-5% 상승 예측
  • 공급이 2007년에 비교했을때 반 수준도 안된다….
  • 인구 증가와 투자회사 구매 숫자가 높다.